[Linux/리눅스] 0-6. Directory & File (디렉토리와 파일)
터미널
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터미널 접속에 성공한 것이다.
1. ls
ls
→ 현재 디렉토리 파일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
ls -l
→ -l 은 파라미터/옵션이라고 불리며
"l 은 format 이 long 이다."라는 의미이다.
파일 형태, 사용권한, 하드링크 번호, 소유주 이름, group 이름, 파일 크기, 파일이 만들어진 날짜등을
자세하게 표시해준다.
ls -a
→ "a는 all의 약자"
경로안의 모든 파일을 표시한다.
ls -al / ls-la
→ 순서 상관 없음
"a:all + l:long" 을 같이 하겠다는 의미이다.
모든 파일을 자세하게 표시한다.
관례상 al 을 더 자주 사용한다.
2. pwd
→ 현재 위치하고 있는 디렉토리를 표시하는 명령어
현재 내가 위치하고 있는 디렉토리를 확인할 수 있다.
3. mkdir
mkdir [생성할 디렉토리 이름]
→ Make + Directory
디렉토리를 만든다는 의미
mkdir helloLinux 라는 명령어를 통해 helloLinux 라는 디렉토리를 생성하였고
ls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.
4. 알아만 두는 touch
나중에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
기본적으로 empty.file 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하였다.
-rw-rw-r--
drwxrwxr-x
이런식으로 표시되는데
간단하게만 알아두자면
d가 붙은 것을 디렉토리라고 이해하면 편할듯 하다.
나머지는 파일
5. cd
cd [이동할 디렉토리 명]
→ Change Directory 라는 의미
[tab]키를 누르면 자동완성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.
아래의 이미지는 전에 만든 디렉토리로 이동한 것이다.
cd ..
→ ..은 이전(부모) 디렉토리로 이동한다는 의미이다.
파란색
p.s. 참고로 .은 현재 디렉토리이다.
cd /
→ / 는 root 뿌리로 돌아간다는 의미.
최상단 경로로 간다는 뜻이다.
p.s. cd 를 사용한다면 자신이 소유하는 디렉토리 경로로 이동한다.
6. clear
→ 깨끗하게 화면을 정리한다.
7. rm
rm [파일명]
→ remove 제거하다 라는 의미이다.
이전에 만들었던 hello.txt 파일을 rm hello.txt 명령으로 제거한뒤
ls -l 명령어로 지워진것을 확인할 수 있다.
rm -r [파일명]
→ "r은 recursive (재귀적/순환)의 약자이다."
일반 파일일 경우에는 그냥 지운다.
디렉토리일 경우에는 그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 모두를 지운다.
문제1) helloLinux 라는 디렉토리를 만든후
helloLinux 디렉토리 안에/하위에
hello.txt. 파일을 생성하라.